2024 총선 선거일 투표소 찾기 신분증 인정 범위 (Feat.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의석수 계산방법)
2024 총선 선거일 투표소 찾는 방법과 투표소 신분증 인정 범위 그리고 비례대표 투표시 내가 지지하는 정당이 얻게될 의석수는 어떻게 되는것인지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의 의석수 계산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봅니다.
연재 여권과 야권 모두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로 인하여 지역구와 달리 비례대표 정당은 다양한 선택지가 있어서 아직도 어떤 당을 선택해야하는지 고민인 분들도 적지않습니다. 다시한번 중앙선관위의 비례대표 정당 정보와 후보자 공약등을 확인하시고 본인이 지지하는 정당의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의 의석수 계산방식을 검토하셔서 본인이 지지하는 정당을 잘 결정하시고 올바르게 투표하시기 바랍니다.
선거일 투표소 찾기
선거일 투표소는 공보물에도 나와있지만 쉽게 확인하시려면 중앙선관위 선거일 투표소 찾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중앙선관위에서 선거일 투표소 찾기를 클릭하시면 하기와 같이 투표소 위치와 투표소 정보가 모두 나타납니다. 본인의 지역을 확인 후 하기 지도에서 찾으실 수 있습니다.
투표 당일 투표소 신분증의 인정 범위는 하기 중앙선관위에서 정하는 신분증 정보에서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비례대표 정당 후보자 정책정보
아직 비례대표 정당을 결정하지 못한 분들께서는 중앙선관위에서 모아놓은 40개 비례대표 정당들의 후보자들과 정책 정보등을 확인하신 후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
준연동형 비례대표 의석수 계산방법
다소 복잡할수도 있는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의 의석수 계산방법입니다. 기본적으로 비례대표의 의석배분 방식을 알아야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이해를 할수 있습니다.
■ 비례대표 의석배분방식
- 기본 조건 1 : 전국 투표시 유효표 3% 이상 득표한 정당
- 기본 조건 2 : 전국 투표시 지역구 최소 5석 이상 차지한 정당
- 병립형 비례대표제 : 지역구 무관 정당 득표율만큼 비례대표 의석수 획득
- 연동형 비례대표제 : 정당 득표율에 따른 정당 의석수 > 실제 지역구 당선인 차이만큼 비례대표 배분
- 준 연동형 비례대표제 : 연동형 비례대표제와 동일하지만 차이의 50%만 비례대표 배분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정당득표율에 맞는 전체 의석수를 결정하고 거기에 맞춰 실제 당선된 지역구 당선인을 비교하여 만일 정당득표율 만큼 실제 지역구 당선인이 적을 경우 비례대표로 채워넣는 것이며 이 채워넣는 기준을 50% 만 채워넣는 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자면 이번 총선 기준대로 지역구 254석 비례 46석이 전체 의석수라고 했을 때 A 정당이 정당득표율이 10% 이며 지역구 선거에서는 20석을 가져갔다고 해봅시다. 10% 의 정당지지율이라면 가져가야하는 의석수는 300석 중 30석을 가져가야하지만 실제 20석 밖에 얻지 못했습니다. 그러면 여기서 10석을 채워주면 연동형 비례대표제이며 50% 인 5석을 채워주면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인 것입니다. 따라서 A 정당은 지역구 20석에 비례대표 5석을 가져가게 됩니다.
만일 이렇게 계산했는데 300석을 채우지 못하고 남게된다면 남은 좌석만큼은 일반 비례대표제로 정당득표율 만큼 각당이 의석수를 가져가게 됩니다. 하기는 전체 정당의 준연동형 비례대표 계산의 예시입니다. 여기서 중요한건 무소속이 4석이라면 정당 득표율이 기준이기 때문에 전체는 300석이 아닌 296석으로 계산해야 되는 것입니다.
A 당 기준으로 보면 원래 얻어야할 의석은 118석 (118.4) 이지만 실제 지역구 당선인 의석수는 100석으로 18석이 모자라게 됩니다. 준 연동형제이기 때문에 50% 만 비례를 얻게되서 9석을 얻게 됩니다.
이렇게 28석을 채웠지만 전체 비례대표 의석수 46석에는 모자라게 되고 남는 18석을 비례득표율대로 나눠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18석의 40% 이므로 7석 (7.2) 을 갖게되어 총 A 당의 의석수는 116석이 됩니다.
이상으로 2024 총선 선거일 투표소 찾기 신분증 인정 범위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의석수 계산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2024 총선 사전투표 현황 지역별 투표율 알아보기
총선 주요 후보자 토론회 다시보기
2024 총선 격전지 판세예측